오케스트라
2022

전예은
Yie Eun Chun
상주작곡가
Composer-in-Residence
국립오페라단의 위촉으로 오페라 “레드슈즈” (2020)와 오페라 “Brahms” (2021)를 초연하였으며, 2017년 서울시립교향악단의 현대음악시리즈 '아르스노바(Ars Nova)'의 위촉 작곡가로 선정되어 작품을 발표하였다. ISCM 세계현대음악제 입선 (2016) 및 Georgina Joshi 작곡상 (2014), ASCAP 미국 저작권협회 젊은 작곡가상 (2013), Bernard Rogers 작곡상 (2010) 등을 수상하였다.
또한 2013년 탱글우드 뮤직 페스티벌에 전액장학생 작곡가로 상주하며 위촉작품들을 발표하였고, 미국 오마하심포니 젊은 작곡가로 선정되어 관현악작품을 초연하였다. 그 외에도 TIMF 앙상블, IU New Music Ensemble, Indiana University Orchestra, Ensemble Mise-En, Ensemble Connect, Ensemble 2e2m, Breakout Ensemble 등 국내외 유수의 단체에 의해 작품이 연주 되었으며, 계속해서 여러 앙상블 및 연주자들과 협업하며 작품활동을 이어가고 있다.
2022년 문화체육관광부 산하 대한민국예술원의 제1회 젊은예술가상 음악부문 수상자로 선정되었으며, 최근 LA 필하모닉 오케스트라의 위촉을 받아 바이올린 협주곡을 작곡하였다. 현재 서울대학교, 연세대학교 등에서 작곡 및 음악이론을 가르치고 있다.
2017
이수연
Paul Yeon Lee
상주작곡가
Composer-in-Residence
"… stormed the heavens with sweeping melodic gestures, romantic yearning"- The Washington Post
"… put an emphasis on shimmering, shivering effects"- The New York Times
"… deserves many more performances… It’s a perfect example of how lyrical and richly textured a modern work can be"- Strings Magazine
"… mystical atmosphere"- Fanfare Magazine
"… stunning coloristic effects"- San Francisco Classical Voice
"… scintillating piece... deserves critical attention and establishes Lee as a composer to watch"- Times Herald-Record
"… showstopper... A towering, often ferocious work… genuine… Lee is keeping an old flame very, very alive while fueling it with something that could only have been invented in this century."- Lucid Culture
Paul Yeon Lee(이수연)은 한국계 미국인 작곡가로서 2012년 스트링지가 선정한 “현악계를 한층 더 발전시킬 25인의 작곡가”에 선정되기도 하였다.
그는 미국문학예술아카데미로부터 Walter Hinrichesen Awards(2005)을 수상하였으며 더불어 Charles Ives Scholarship(1999)을 받는 영광을 얻기도 했다. Flushing Town Hall의 상주작곡가, 뉴욕시 Con Edison 작곡 프로그램의 상주음악가(2011)로도 활동하였다. 뉴욕한국문화원과 Fort Worth Symphony Orchestra Composer Workshop, ACO Whitaker New Music Reading Session, Symphony in C Young Composers’ Competition(1988-1999)과 미국작곡가협회 ASCAP Plus Awards에서 수상 하는 등 화려한 수상경력을 가지고 있다.
그는 2013년부터 지속적으로 미국자연사박물관에서 주관하는 다양한 페스티벌에 참가하고 있으며, 2013년에는 Festival Luna, 2014년에는 Experience Korea, 2015년에는 Spotlight Asia: Big Cat에 참여하였다. 이외에도 Symphony Space Festival, 뉴욕의 SONiC FESTiVAL, 파리 Maitrise de Radio France, 시카고 Trail Mix Chamber Concerts World Music Festival Millennium Park, 뉴질랜드 Taranaki International Festival of the Arts, 10th Adam Chamber Music Festival, Cutting Edge Concerts Festival, American Composers Alliance’s Festival of American Music, MacDowell Colony, Atlantic Center for the Arts, SCI National Annual Conference in New York 등 다수의 회의와 페스티벌에서 활발히 활동 중에 있다.
미국음악가협회(ASCAP)의 일원으로 활동중인 폴연리는 산호세 주립대학교 (San Jose State University) 에서 작곡을 전공하였으며 미시간 대학교(University of Michigan in Ann Arbor)에서 석*박사 학위를 취득했으며 Leslie Bassett, Bright Sheng, William Bolcom, Pablo Furman 그리고 Allen Strange를 사사하였다.
2016
김택수
Texu Kim
상주작곡가
Composer-in-Residence
편곡자로서 김택수는 조수미, 신영옥, 하피스트 곽정, 대금 연주자 김정승, 바이올리니스트 김수연, 김지연, 비올리스트 리처드 용재 오닐, 베이시스트 성민제, 피아니스트 손열음, 뮤지컬 배우 양준모 등의 음반에 참여하였다. 그의 편곡은 또 소치 동계 패럴림픽 개막식, Insbrook Music Festival, Peace & Piano Festival, 김대진의 음악교실 등에서, 또 New York Classical Players, 금호체임버뮤직 소사이어티, Opus 5, Ola Viola Sound 등에 의해서 연주되었다.
국제 화학 올림피아드 은메달리스트 출신인 김택수는 서울대학교 화학과, 작곡과 및 동 대학원을 작곡 전공으로 졸업하였으며 (사사: Claude Baker, Sven-David Sandström, David Dzubay, 진은숙, 전상직, 서정은) Indiana University에서 작곡전공으로 박사를 취득하였다. 현재 미국 Portland State University와 Lewis & Clark College에서 음악이론을 가르치고 있다.
박명훈
Myunghoon Park
상주작곡가
Composer-in-Residence
일찍이국내에서 중앙음악콩쿠르, 아시아 작곡가연맹 신인콩쿠르, 창악회 작곡콩쿠르에서 모두1위를 석권하며 두각을 나타낸 그는 교비유학생으로 선발되어 독일 유학기간에 장학금 수혜를받았으며 Ensemble Modern 의 Komponistenstudio선발 베를린 초청연주, Gaudeamus 작곡콩쿠르 입상 암스테르담 초청연주, new talents Biennale cologne 위촉작품 연주, 독일 한국음악제(프랑크푸르트 2015', 함부르크 2016') 등 여러 음악 페스티벌에서 작품이 소개되었고 또한 독일의 Witten 현대음악제를 통해 작품이 연주되고 CD 에 수록되어 발매되었다.
독일최고의 현대음악 전문연주단체인 Ensemble Modern 을 비롯하여 IEMA-Ensemble, Ensemble Handwerk, MAM.manufaktur für aktuelle Musik(독일) 및 nieuw ensemble(네덜란드), PluralEnsemble(스페인) 등 세계 여러 전문연주단체와 작업하였으며 서울시립교향악단, 이화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도쿄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등이 그의 대편성 작품을 연주하였다. DLF(독일라디오방송국), Tonhalle Düsseldorf(뒤셀도르프 음악당), City Cologne(쾰른시), 서울시립교향악단 등으로부터 작품위촉을 받은 바 있다.
작곡가박명훈은 한양대학교에서 작곡 학사과정 졸업 후 독일 쾰른 국립음대에서 작곡 Diplom 과정, 작곡 및 전자음악 작곡 석사과정, 뒤셀도르프 국립음대에서 최고작곡과정 (Exellenz-studiengang Komposition)을 최우수 졸업하였으며 Johannes Schöllhorn, José M. Sánchez-Verdú, Rebecca Saunders, Michael Beil, York Höller, 이종구를 사사했다.
현재한양대학교에서 후학을 양성 중이며, 현대음악전문 앙상블인 Ensemble Eins 의 작곡가 겸예술감독으로 활동 중이다.
2015
김택수
Texu Kim
상주작곡가
Composer-in-Residence
편곡자로서 김택수는 조수미, 신영옥, 하피스트 곽정, 대금 연주자 김정승, 바이올리니스트 김수연, 김지연, 비올리스트 리처드 용재 오닐, 베이시스트 성민제, 피아니스트 손열음, 뮤지컬 배우 양준모 등의 음반에 참여하였다. 그의 편곡은 또 소치 동계 패럴림픽 개막식, Insbrook Music Festival, Peace & Piano Festival, 김대진의 음악교실 등에서, 또 New York Classical Players, 금호체임버뮤직 소사이어티, Opus 5, Ola Viola Sound 등에 의해서 연주되었다.
국제 화학 올림피아드 은메달리스트 출신인 김택수는 서울대학교 화학과, 작곡과 및 동 대학원을 작곡 전공으로 졸업하였으며 (사사: Claude Baker, Sven-David Sandström, David Dzubay, 진은숙, 전상직, 서정은) Indiana University에서 작곡전공으로 박사를 취득하였다. 현재 미국 Portland State University와 Lewis & Clark College에서 음악이론을 가르치고 있다.
이수연
Paul Yeon Lee
상주작곡가
Composer-in-Residence
"… stormed the heavens with sweeping melodic gestures, romantic yearning"- The Washington Post
"… put an emphasis on shimmering, shivering effects"- The New York Times
"… deserves many more performances… It’s a perfect example of how lyrical and richly textured a modern work can be"- Strings Magazine
"… mystical atmosphere"- Fanfare Magazine
"… stunning coloristic effects"- San Francisco Classical Voice
"… scintillating piece... deserves critical attention and establishes Lee as a composer to watch"- Times Herald-Record
"… showstopper... A towering, often ferocious work… genuine… Lee is keeping an old flame very, very alive while fueling it with something that could only have been invented in this century."- Lucid Culture
Paul Yeon Lee(이수연)은 한국계 미국인 작곡가로서 2012년 스트링지가 선정한 “현악계를 한층 더 발전시킬 25인의 작곡가”에 선정되기도 하였다.
그는 미국문학예술아카데미로부터 Walter Hinrichesen Awards(2005)을 수상하였으며 더불어 Charles Ives Scholarship(1999)을 받는 영광을 얻기도 했다. Flushing Town Hall의 상주작곡가, 뉴욕시 Con Edison 작곡 프로그램의 상주음악가(2011)로도 활동하였다. 뉴욕한국문화원과 Fort Worth Symphony Orchestra Composer Workshop, ACO Whitaker New Music Reading Session, Symphony in C Young Composers’ Competition(1988-1999)과 미국작곡가협회 ASCAP Plus Awards에서 수상 하는 등 화려한 수상경력을 가지고 있다.
그는 2013년부터 지속적으로 미국자연사박물관에서 주관하는 다양한 페스티벌에 참가하고 있으며, 2013년에는 Festival Luna, 2014년에는 Experience Korea, 2015년에는 Spotlight Asia: Big Cat에 참여하였다. 이외에도 Symphony Space Festival, 뉴욕의 SONiC FESTiVAL, 파리 Maitrise de Radio France, 시카고 Trail Mix Chamber Concerts World Music Festival Millennium Park, 뉴질랜드 Taranaki International Festival of the Arts, 10th Adam Chamber Music Festival, Cutting Edge Concerts Festival, American Composers Alliance’s Festival of American Music, MacDowell Colony, Atlantic Center for the Arts, SCI National Annual Conference in New York 등 다수의 회의와 페스티벌에서 활발히 활동 중에 있다.
미국음악가협회(ASCAP)의 일원으로 활동중인 폴연리는 산호세 주립대학교 (San Jose State University) 에서 작곡을 전공하였으며 미시간 대학교(University of Michigan in Ann Arbor)에서 석*박사 학위를 취득했으며 Leslie Bassett, Bright Sheng, William Bolcom, Pablo Furman 그리고 Allen Strange를 사사하였다.
2014
김택수
Texu Kim
상주작곡가
Composer-in-Residence
편곡자로서 김택수는 조수미, 신영옥, 하피스트 곽정, 대금 연주자 김정승, 바이올리니스트 김수연, 김지연, 비올리스트 리처드 용재 오닐, 베이시스트 성민제, 피아니스트 손열음, 뮤지컬 배우 양준모 등의 음반에 참여하였다. 그의 편곡은 또 소치 동계 패럴림픽 개막식, Insbrook Music Festival, Peace & Piano Festival, 김대진의 음악교실 등에서, 또 New York Classical Players, 금호체임버뮤직 소사이어티, Opus 5, Ola Viola Sound 등에 의해서 연주되었다.
국제 화학 올림피아드 은메달리스트 출신인 김택수는 서울대학교 화학과, 작곡과 및 동 대학원을 작곡 전공으로 졸업하였으며 (사사: Claude Baker, Sven-David Sandström, David Dzubay, 진은숙, 전상직, 서정은) Indiana University에서 작곡전공으로 박사를 취득하였다. 현재 미국 Portland State University와 Lewis & Clark College에서 음악이론을 가르치고 있다.